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왕릉 기행 및 조선시대 둘러보기20

조선왕릉 기행 : 선릉과 정릉(2) 조선왕릉 기행 : 선릉과 정릉(2)정릉은 조선 제11대 임금인 중종(1488-1544, 재위 1506-1544)의 능이다.   중종은 연산군 시대의 폐정을 개혁하였으며, 조광조 등의 신진 사류(士類)를 중용, 왕도정치를 시도하였으나, 지나치게 이상적인 개혁방법이 훈구파의 반발을 초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신진사류를 숙청하였다. 이후 신사무옥(辛巳誣獄), 삼포왜란 등으로 정국은 혼미를 거듭하였다. 중종은 1494년(성종 25) 진성대군(晉城大君)에 봉해졌는데, 1506년 박원종(朴元宗) ·성희안(成希顔)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왕에 추대되어 즉위하였다. 연산군 시대의 폐정(弊政)을 개혁하였으며, 1515년(중종 10) 이래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진사류(新進士類)를 중용하여 그들이 표.. 2024. 3. 12.
조선왕릉 기행 : 선릉과 정릉(1) 조선왕릉 기행 : 선릉과 정릉(1)선릉과 정릉은 선정릉이라고도 하며, 서울 강남구 선릉로 100길 1에 있다. 2호선, 수인분당선 선릉 역 8, 9, 10번 출구로 나가면 선정릉에 갈 수 있다. 내가 생활하는 곳에 가까이 있는 선정릉에 대한 글을 시작으로, 조선왕릉에 대하여 글을 쓴다. 선릉은 조선 제9대 임금 성종(1457-1494, 재위 1469-1494)과 정현왕후 윤 씨(1462-1530)의 능으로 서쪽에는 성종, 동쪽에는 정현왕후의 능이 있다. 능의 구조는 거의 같으나 성종의 능에만 병풍석이 있다. 정릉은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 재위 1506-1544)의 능으로, 원래는 고양시 서삼릉 장경왕후의 희릉 서쪽 언덕에 조성하였으나, 문정왕후가 현재의 자리로 이장하였습니다.  선릉.. 2024.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