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왕릉 기행 및 조선시대 둘러보기20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 안에 있는 건원릉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 안에 있는 건원릉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은 약 450여 년에 걸쳐 조성된 9기의 능이 모여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으로,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이곳에 잠들어 있다. 건원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능이고, 건원릉의 봉분은 다른 왕릉과 달리, 잔디가 아닌 억새(청완)로 덮였는데, 인조실록에 의하면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덮은 것이라고 한다. 청완 예초의 : 태조 이성계의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청완)를 자르는 의식이다. 예로부터 건원릉 억새는 1년에 한 번 한식날 예초를 하였는데, 국가유산청(문화재청)은 한식에 건원릉의 억새 자르는 것을 계승하기 위하여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듬해인 2010년 매년 한식날에 일반인들과 함께 억새를 베는 "청완 예.. 2024. 10. 16.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2024년 9월 7일(토요일) 동구릉을 가려고, 오전 11시 50분에 집을 나선다. 지하철 8호선이 2024년 8월 10일 별내역까지 연장되고, 동구릉역이 생겨서 동구릉에 가기가 아주 편해졌다. 1시쯤 동구릉에 도착하여 입장한다.  지하철 8호선 동구릉역 3번 출구로 나와서 계속 직진하면 왼쪽으로 동구릉 입구가 나온다. 강변역 4번 출구에서 구리 방향 1, 1-1, 92번 버스를 타면 동구릉에 갈 수 있다. 동구릉은 약 450여 년에 걸쳐 조성된 9기의 능이 모여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으로,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동구릉에 잠들어 있다. 1408년(태종 8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문종의 헌릉, 선조의 목릉, 현종의 숭릉, 장렬왕후의 휘릉, 단의 .. 2024. 9. 9.
용양봉저정 기행 용양봉저정 기행 20213년 4월 4일 한강변 노들역에 내가 좋아하는 정조대왕 시대에 건축한 용양봉저정이 있다고 하여 방문을 한다. 전철 9호선 노들역 3번 출구에서 조금 걸어가면 100년 전통의 노량진 교회가 있고, 조금 더 가면 오른쪽에 아담한 한옥이 있다. 정조대왕이 배다리로 한강을 건너서 점심을 드시고 쉬어가신 용양봉저정이다. 용양봉저정 : 정조가 수원 화산에 있는 아버지 장조의 무덤인 현륭원에 참배하러 갈 때, 지금 한강의 한 부분인 노들강에 배다리를 설치하고 건너가 잠시 쉬기 위하여 행궁(行宮)으로 쓰던 곳이다. 노들역 : 노들 역명의 유래는 노량진의 순우리말인 노들나루 민요 노들강변의 배경이다. 배다리 : 배를 일정 간격으로 늘어놓고 그 위에 판재를 건너질러 만드는 부교(浮橋)의 일종이다. .. 2024. 3. 26.
조선왕릉 기행 : 헌릉과 인릉(2) 조선왕릉 기행 : 헌릉과 인릉(2) 인릉은 조선 제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 김 씨의 능이다. 조선의 제23대 임금인 순조는 김조순 및 외가 인물들의 권력 강화에 맞서 선왕의 여러 정책을 모범으로 국정을 주도하려고 노력하였다. 암행어사 파견,《만기요람》편찬, 국왕 친위부대 강화, 하급 친위 관료 육성 등의 방식으로 국정을 파악하고 국왕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다. 정조의 후궁인 박준원(朴準源)의 딸 수빈(綏嬪)에게서 부왕의 2남으로 태어났으나 1남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그해 6월에 11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즉위와 함께 영조비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수렴청정이 실시되어 경주김씨 김관주(金觀柱)와 심환지(沈煥之) 등의 벽파가 정치를 주도하였으나, 1803년.. 2024. 3. 15.
조선왕릉 기행 : 헌릉과 인릉(1) 조선왕조 기행 : 헌릉과 인릉(1)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왕릉이다. 헌릉은 조선의 제3대 임금 태종(1367-1422, 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의 능이다. 인릉은 조선의 제23대 임금 순조(1790-1834, 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 김씨의능이다. 헌인릉은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헌인릉은 태종과 세종이 합장된 왕릉이었으나, 제7대 임금이자 세종의 둘째 아들인 세조가 세종의 능을 이장하자는 추진에 따라 예종 1년이 현재의 경기도 여주시로 이장하여서 태종의 능만 남았고, 후에 23대 임금인 순조가 안장되면서 현재의 헌인릉이 되었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의 제3대 임금으로 태조의 다섯째 아들로 출생하였.. 2024. 3. 14.
조선왕릉 기행 : 의릉 조선왕릉 기행 : 의릉 의릉은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으며, 지하철 6호선 돌곶이 역에서 가깝다. 조선 후기 20대 임금인 경종(1688-1724, 재위 1720-1724)과 그의 계비 선의 왕후 어 씨의 능이다. 경종은 숙종의 제1자로 희빈 장 씨의 소생이다. 숙종의 승하 후 경희궁에서 즉위하였으나, 병약하여 재위 4년 만에 승하하였다. 1717년 숙종의 주도하에 대리청정(代理聽政)하였으나, 그해 숙종이 몰래 노론의 이이명(李?命)을 불러 세자가 무자다병(無子多病)함을 이유로 세자를 교체하여 연잉군으로 정할 것을 부탁하였다. 이 때문에 노론과 소론의 정치적 대립은 극에 달하였다. 숙종은 세자를 연잉군으로 교체하고 싶었지만 정치적 부담으로 불가능하자 대리청정을 통해 세자의 실정을 트집 잡아 세자를 연잉.. 2024.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