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묘 영년전에 대하여(3)
영녕전은 세종 3년(1421)에 새로 지은 별묘이다.
종묘 영녕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가
4.6 ★ · 역사적 명소
www.google.com
"영녕"은 왕실 조상과 자손이 함께 평안하다는 의미이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지은 후, 두 차례에 걸쳐 증축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임진왜란
임진왜란은 1592년 전국 시대가 끝난 도요토미 정권 치하의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발발하여 1598년까지 이어진 전쟁이다. 두 차례의 침략 중 1597년의 제 2차 침략을 정유재란이라고 따로 부르
www.google.com
영녕전에는 정전에서 옮겨온 왕과 황제 15위와 왕비와 황후 17위, 그리고 마지막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삼일절에 종묘를 시찰한다.
삼일절에 종묘를 시찰한다.2025년 3월 1일(토요일) 오늘은 유관순 열사가 생각나는 삼일절이다. 유관순유관순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고흥이며 일제강점기에 3.1운동으로 시작
chunsungwook.com
영녕전은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 국가 지정 보물: Google 검색
www.google.com
세계유산 종묘를 참고하여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조선왕릉 기행 및 조선시대 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 정전에 대하여(2) (0) | 2025.03.14 |
---|---|
종묘에 대하여(1) (0) | 2025.03.07 |
삼일절에 종묘를 시찰한다. (0) | 2025.03.01 |
조선왕릉 기행 : 동구릉안에 있는 경릉 (0) | 2024.11.21 |
조선왕릉 기행 : 동구릉 안에 있는 수릉 (0) | 2024.11.20 |